|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turtlebot
- 3dmapping
- gaussiansplatting
- opencv
- adaptivedensitycontrol
- ComputerVision
- usbcamera
- rosnoetic
- covariancematrix
- rostopics
- pointcloud
- imageprocessing
- vectorcalculus
- differentiablerendering
- 3dgaussiansplatting
- realtimerendering
- vectorfields
- Slam
- LIDAR
- Ros
- tilebasedrasterizer
- roslaunch
- turtlebot3
- alphablending
- raspberrypi
- electromagnetism
- rospackages
- NERF
- catkinworkspace
- sensorfusion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22)
Wiredwisdom
Scan(row)라인이 닫히고 다음 라인으로 넘어가도커패시터에 의해 액정의 상판과 하판의 전계가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빛의 광량은 잠시나마 유지가 되는데, 그 시간 동안 화면 전체를 스캔하고 다시 한바퀴를 돌 수 있다면, 어지간해서는 사람의 눈으로 감소되는 전압을 느끼는 것은 불가능하다.데이터는 row 단위로 이산적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눈이 이미지가 Static 하다고 믿기 위해서는 이렇게 전압을 유지시키는 회로가 필요하다. 디스플레이의 해상도가 커질 수록, 그리고 디스플레이의 픽셀의 크기가 커질 수록(화면이 커질수록) 더욱 필요로 하는 기술이다.이는 궁극적으로 DRAM의 기술에서도 사용이 된다.
가장 직관적인 형태의 디스플레이 회로이다.게이트와 액정의 전압을 유지시켜주는 커패시터가 없고게이트 전압이 열리고 드라이빙 전압이 순차적으로 주입된 순간에만 빛을 발광한다.이를 빠르게 반복하여 잔상을 통해 이미지가 Static 하게 보이도록 착시를 주는 방식에 기인한다.이런 PWM 방식은 이후 OLED와 MicroLED에서도 다시 더 정밀하게 활용되게 된다.
그림을 보면 polarizer 의 편광 방향을 주시해야 한다.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액정은 빛을 트위스트 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트위스트 시키는 방향의 축에만 매질이 닿아야 한다는 것이다. 액정은 상판과 하판의 금속물질에만 접촉이 되며, 그 사이드에 매질이 접촉되면 문제가 트위스트에 문제가 생긴다. 이 트위스트 되는 각도를 90도로 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렇게 되도록 상판과 하판 사이의 간격이나 액정의 물질을 조율한다.비로소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때에는 유리를 보듯 빛이 투과하게 되고상판과 하판의 전압 차이가 올라갈때마다 배열이 정렬되면서 빛의 투과성을 점진적으로 낮추게 되는 것이다.